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슈

🤔 투자 업계는 누가 대통령이 되길 바랄까? (ft. IPO, M&A, VC의 미래는)

출처: giphy

 

IPO 업계: 윤석열 > 이재명

 

한때 IPO 시장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당선되면 우리 모두 업계를 떠나야 한다는 말까지 돌 정도로, 윤석열 후보를 지지하는 목소리가 컸어요.

 

이 후보의 원칙인 ‘투자자 보호’ 기조가 지금보다 강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이 되었는데요. 이 후보는 경제 유튜브 채널 ‘삼프로TV’에 나와 ‘금융 감독을 강화해 금융 감독을 강화해 자본 시장의 불투명성을 제거한다면 ‘코스피 5000’도 가능하다”고 얘기하기도 했어요. 

 

얼마 전 LG에너지솔루션의 ‘뻥튀기 청약’ 사태에 대해서도 당시 자본금 50억 규모의 한 자문사가 기관투자자는 청약 증거금을 내지 않아도 된다는 제도적 허점을 이용해 7조 원을 써냈다는 한 언론 보도와 관련, “수요조작도 주가조작의 일종”이라며 강력히 비판을 하기도 했고요. 

 

그러자 이 후보가 공모주 청약할 때 일반투자자의 참여율을 지금보다 더 높이고, 나아가 IPO 주관 수수료를 정액제로 할 수도 있다는 증권사들의 우려도 나오고 있어요. 실제로 지난 2020년 금융감독원은 IPO 주관사들과 비공개 미팅을 열고 상상 주관 수수료를 정액제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한 적이 있는데요. 통상 IPO 수수료는 공모규모와 공모가에 비례해서 정해지는데, 이를 정액제로 바꾼다면 ‘성과급’ 제도에 익숙한 증권사와 맞지 않는다는 볼멘소리가 나와 해당 이야기는 흐지부지 된 바 있어요. 

 

다만 윤 후보와 이 후보가 공통적으로 내놓은 IPO 관련 제도를 보면, 전반적인 공모주 시장 침체가 예상되는데요. 두 후보 모두 기업의 물적분할로 소액주주들이 볼 피해를 줄이겠다는 입장이기 때문. 물적분할은 대기업이 핵심 사업부를 분할해 별도 자회사로 만들어 상장하는 과정을 뜻해요. 윤 후보는 물적분할 시 기존 주주에게 신주인수권을, 이 후보는 신주를 모 회사 주주에 우선 배정하는 방식을 고려하고 있죠.  

 

M&A 업계: 이재명>윤석열

 

두 후보는 기업의 인수합병(M&A) 과정에서도 소액주주를 보호하자는 입장을 나타내고 있는데요. 세부적인 방식은 조금 다릅니다. 

 

이 후보는 M&A 수수료 부과와 소액주주 다수결제 등을 공약으로 내놓았어요. M&A 수수료 부과의 경우에는, 공정거래위원회에 M&A를 신고하는 기업에 수수료를 내도록 하겠다는 것인데요. M&A할 때 독과점 여부를 따지는 것 역시 행정 서비스의 일부로 보는 미국 등 해외 정부는 기업들로부터 관련 수수료를 받고 있다는 게 근거예요. 소액주주 다수결제의 경우에는, 상장 회사가 M&A나 자산매각 등을 할 때 대주주 지분을 뺀 상태에서 소액주주들의 다수표를 받아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어요. 소액주주 다수결제가 도입되면 아무래도 M&A 과정이 까다로워지겠죠.  

 

윤 후보는 의무공개 매수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건 이 후보가 내놓은 소액결제 다수결제보다 더 강한 규제로 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최대주주가 보유 지분 30%를 3000억 원에 판다고 했을 때, 인수자가 그 지분만 살 수 있는 게 아니라 나머지 소액주주 지분 70%까지 사야 한다는 거예요. 소액주주 보호 강도가 더 세진 만큼, 인수자의 부담도 그만큼 늘어나는 것이죠.  

 

M&A 업계 관계자들의 반응은 다소 갈리지만, 대부분 의무공개 매수제에 더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어요. 의무공개 매수제가 시행되면 인수 대금 부담이 커져 M&A가 진행되기 어려워지거든요. 반면 소액주주의 권리가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다는 시각도 커요. 그동안 기업의 M&A를 통해 최대주주들만 경영권 프리미엄을 보장받는 등 혜택이 많았거든요. 

 

VC 업계 윤석열=이재명

 

벤처투자 업계를 두고서는 두 후보 모두 긍정적인 공약을 내놓고 있어요.

 

벤처캐피탈(VC)  자금의 근간인 모태펀드에 대해 이재명 후보는 10조 원 확충, 윤석열 후보는 2배 확대 계획을 제시했기 때문. 또한 이 후보는 창업연대기금 1조원 조성 및 유니콘 기업 100개 육성을 약속했고, 윤 후보는 스타트업 성장 공정거래시스템을 마련하겠다는 공약을 내놓았죠. 두 후보 보다 유망 초기 기업의 성장은 이후 개인투자자의 투자 기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견을 공유하고 있다고 풀이돼요. 

 

 

 

 

뉴스레터 구독하기

카카오뷰 추가하기